<aside> 💡
< 1강 요약 >
clone : 원격 저장소(github)를 내 컴퓨터에 복사해 온다
add : 내 컴퓨터에서 작업한 파일들을 스테이지에 추가
commit : 스테이지에 올라온 파일들을 가지고 내 컴퓨터에 저장 (세이브)
push : 원격 저장소에 커밋들을 업로드 </aside>
git : 형상 관리 시스템 (Verson Control System)의 한 종류;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 추적, 사용자들 간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 ⇒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;
커밋 (commit) : 세이브하는 행동; 저장을 원하는 파일들을 묶어서 커밋 명령을 수행한다.
스테이지에 올린다 (add) : 커밋 전 저장하고자 하는 파일들을 묶는 작업
github에 업로드 (push) : 컴퓨터의 데이터가 날아가도 복구 가능
Source Tree 설치 : 아틀라시안에 가입해야 함 ⇒ bitbucket 설정으로 가입하여 사용함.
<aside> 💡
< 과정 >
깃허브 계정 만들기 → 깃허브 new Repositorie 생성
clone → 파일 스테이지에 올리기 → 커밋 메시지 작성 후 커밋하기
</aside>
** 커밋 주의사항
반드시 한 번에 하나의 논리적 작업만을 커밋한다.
커밋 메시지를 꼼꼼히 잘 적는다
→ 첫 줄에 간단&명확하게 내용 쓰기
→ 한 줄 비우고 / 자세한 내용을 적기
<aside> 💡
(ex)
hello.html 파일 생성
깃과 깃허브 공부용 hello.html 작성 생애 첫 깃 커밋
</aside>
아래는 완료한 모습